태극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open
close
식단관리(메뉴젠)

깻잎

기존정보

기본정보 테이블
식재료 유래 ■ 깻잎은 식물분류학상 꿀풀과에 속하는 초본식물인 들깨의 잎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한국, 중국에서 주로 재배하였다.
■ 깻잎은 사전적 의미로는 들깻잎과 참깻잎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나, 시중에 유통되는 깻잎은 들깻잎을 지칭한다.
■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인 농사직설(農事直說, 1429)에서는 이미 들깨를 유마(油麻), 수임자(水荏子)로 기록하였다.
■ 들깨의 명칭은 고어로 깨(ㅂㅅ개)이었는데 이보다 늦게 전래된 참깨로 인하여 들(野)자가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 예로부터 들깨는 잎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를 가축들이 싫어하여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밭 둘레에 심거나 기상재해로 소득 작물 재배가 어려울 때 대파작물(代播作物)로 이용됐다.
■ 깻잎은 마디마다 두 개씩 마주 붙어 나고, 잎 모양은 심장형 또는 피침형이며 잎 면에는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고 끝이 예리하고 잎둘레는 톱니모양이다.
■ 빛깔은 보통 녹색을 띄지만 뒷면이 자색인 것과 표면의 잎맥이 자색인 것도 있다.
■ ‘식탁위의 명약’이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이 풍부한 깻잎은 향긋하고 부드러운 식감으로 입맛을 돋워준다.
■ 깻잎은 상추와 함께 쌈 채소의 대표 주자이자 전 세계에서 오직우리나라 사람만이 먹는 식재료이다.
■ 들깨는 종자가 굵고 잎의 향기가 연하여 식용으로 적당하며, 목적에 따라 종자를 생산하는 종실들깨와 깻잎을 수확하는 잎들깨로 구분된다.
■ 잎들깨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잎들깨 전용품종을 사용하여야 한다.
■ 잎들깨 품종은 키가 작고 줄기가 굵고, 곁가지 발생이 작고 마디사이가 짧으며, 잎이 둥글고 잎살이 두꺼우며 잎 뒷면 보라색을 띈다.
■ 깻잎에는 비타민의 함량이 많으며 페릴라알데하이드, 리모넨, 페릴라케톤 등의 방향성 정유 성분이 들어있어 돼지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느끼한 맛이나 비린내를 없애주고 그 독특한 향은 입맛을 돋워 신선 잎채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품종특성
구입요령
■ 품종특성
- 잎들깨1호: 잎 모양은 심장형, 겨울철 시설재배 시 잎 뒷면 색깔이 보라색을 띠며 잎이 크고 두껍다.
- 상엽: 상엽들깨는 잎전용 품종으로 잎뒷면 자색이 잘 나타나며, 속잎 신장성이 뛰어나 수확작업에 효율적이다.
- 소임: 소임의 잎 모양은 기존의 품종보다 엽장이 긴 심장형이며, 최대엽장이 16.8cm로 비교적 작은 편으로 채엽 지연 시에도 유리하며, 상품 잎 채엽 후 다음으로 채엽할 속잎의 신장성이 뛰어나 겨울철 수확작업에 효율적이다.
- 동글1호: 잎들깨 동글1호는 잎 모양이 기존의 품종보다 더 둥근 심장형이며 잎 뒷면 자주색 발현이 양호하여 상품성이 높다. 경색은 녹색, 화색은 흰색이고 종자는 암갈색의 구형을 가진다.
- 동글2호: 동글2호는 잎의 크기가 알맞아 깻잎 수확작업이 쉽고 여름철에도 잎 뒷면 보랏빛이 잘 나타나는 밀양47호를 선발하여 육성한 잎들깨용 품종이다.
- 늘보라: 잎의 앞·뒷면 모두 보라색이고 잎 모양이 기존의 일반 잎들깨와 달리 주름진 상추형이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도에 부합하다.
■ 구입요령
- 깻잎은 짙은 녹색을 띠는 것이 좋으며 붉은색, 검은색의 반점이 있는 것은 피해야 한다. 수확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싱싱한 깻잎은 향이 강하며 줄기가 말라 있지 않고 잎의 잔털이 선명해 표면이 까칠하다.
보관법
손질법
■ 보관법
- 깻잎은 쉽게 건조해지기 때문에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깻잎을 종이타월로 한번 감싸 랩으로 씌운 후 냉장 보관한다.
■ 손질법
- 한 장씩 꼼꼼히 씻어 잔털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온에서 5분간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씻어 농약 잔류물을 제거한다.
기타정보 ■ 들깨는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 공급원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데 종실 중에는 43%의 기름과 18%의 단백질 및 28%의 탄수화물이 들어 있으며 기름은 양질의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섭취정보

섭취정보 테이블
섭취방법 ■ 깻잎은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어 주로 쌈 채소, 장아찌, 무침 요리의 주재료나 찌개와 탕의 부재료로 활용된다.
영양성분효능 ■ 깻잎은 독특한 향과 맛을 지니고 있어 식용, 약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베타 카로틴, 카페인산, 루테올린, 퀘르세틴, 로즈마린산 등의 안토시아닌 계열 색소 및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또한 깻잎의 잎에는 칼슘, 철, 마그네슘, 인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 A와 C 및 타이로신, 라이신, 리놀렌산 등의 식물성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
■ 깻잎은 소염작용, 항알러지 작용, 항돌연변이성, 항산화 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뿐만 아니라 간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 항고지혈증 및 항동맥경화 활성, 항비만 활성, 대장암세포 및 혈액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피부 종양 형성 억제 활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선행 연구들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생리 활성으로 깻잎은 피부 크림, 비누, 의약품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관련연구정보 ■ 깻잎 분말을 첨가한 즉석 쌀국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최미현 외 3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8(4), 2019
- 본 연구에서는 90% 이상의 팔방미와 높은 수요 및 건강 기능성을 지닌 깻잎을 이용하여 즉석 쌀국수를 제조하고 품질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성분 측정 결과 깻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소거능, FRAP 활성 모두 깻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색,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대부분 항목에 대해 1.5% 첨가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깻잎 분말을 첨가한 즉석 쌀국수 제조 시, 1.5%를 첨가한 경우 항산화활성, 관능적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소비량 ■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잎들깨의 소득을 분석하면 10a당 조수입은 22,788천원이며, 생산비는 8,075천원으로 소득은 1,471만원이었다. 소득률은 평균 65.4%로 나타났다. 2016년도 기준으로 다른 시설 재배 작물과 비교해보면 오이, 고추, 딸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엽채류인 상추보다 약 75%의 높은 소득을 나타내었다.

관련 이미지

깻잎 관련 레시피

깻잎 소고기 쌈밥 깻잎 소고기 쌈밥 57
깻잎 소고기 쌈밥
깻잎 부각 깻잎 부각 65
깻잎 부각
깻잎 새우전 깻잎 새우전 66
깻잎 새우전
깻잎석쇠불고기 깻잎석쇠불고기 77
깻잎석쇠불고기
깻잎소스감자범벅 깻잎소스감자범벅 80
깻잎소스감자범벅
깻잎꼬막무침 깻잎꼬막무침 81
깻잎꼬막무침
목록


담당자 : 식생활영양과 강민숙 063-238-3584  갱신주기 : 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