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close
식단관리(메뉴젠)

오리고기

기존정보

기본정보 테이블
식재료 유래 ■ 중국이나 이집트 등 고대의 기록이나 유물을 통해 인류는 이미 수천 년 전부터 오리를 사냥하거나 사육하여 식용으로 이용해 온 것으로 추정
- 약 3천~4천 년 전 이집트 벽화나 조각에서 오리를 사냥하거나 제물로 바치는 형상이 발견
- 중국 남부의 늪지대와 호수지대에서도 4천 년 전 이전의 신석기 유물로 오리모양 토기가 발굴되어 오리를 사육한 것으로 추정. 문헌상으로는 전국시대(BC 475~221)의 기록이 존재하며, 농업에서의 이용은 15~16세기 벼 해충방제에 관한 기록이 존재
■ 가금(家禽)화된 오리는 중세와 근대를 거치면서 식용이외에도 알, 기름, 털을 제공하는 유용한 가축으로서 자리를 잡게 됨
■ 우리나라에서는 오리모양의 토기가 3세기 후반부터 낙동강 유역에서 만들어지기 시작
■ 우리나라의 문헌상에 기록된 오리는 우리말로 오리, 올이, 올히로 불리며 식용과 약용으로 겸용
- 신라와 고려시대에 오리를 키워 임금님께 진상했다는 기록이 ‘오주연문장전산고’에 존재
- ‘지봉유설(芝峯類說)’에는 가축으로서의 오리에 대해,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집오리와 들오리의 다양한 성질과 약효를 밝힘
- 조선후기에 저술된 ‘재물보(才物譜)’, ‘물명고(物名攷)’ 등의 어휘 사전에서는 집오리와 야생오리의 종류, 특징 등에 대해 기술
품종특성
구입요령
■ 품종특성
- 오리는 기러기목 오리 과의 새 중에서 몸집이 작은 새들의 총칭으로 전 세계적으로 164종이 분포하며 국내에는 40종이 보고
- 크기에 따라서는 반탐(0.5~1kg), 소형(1.5~2kg), 중형(2.75~3kg), 대형종(3~5.5kg)으로 구분
- 사육 목적에 따라서는 난용종, 육용종, 난육겸용종으로 구분
- 난용종: 연간 200~300개의 알을 낳고 2㎏ 내외로 작은 편, 인디안 러너(Indian Runner), 카키 캠밸(Khaki Campbell) 등
- 육용종: 산란수가 연 130개 이하로 적고 체중 4kg 내외인 품종으로 르왕(Rouen), 머스코비(Muscovy) 등이 대표 품종
- 난육겸용종: 육용오리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육되는 페킨(Pekin), 고운 갈색털이 특징인 오핑톤(Orpington) 등이 해당

■ 구입요령
- 고기색은 선홍색에 가깝고 탄력이 있는 것이 이상적인 육질. 암적색을 띄는 것은 오래 보관된 고기이며 푸른색을 띄는 것은 이상이 있는 고기이므로 구입 시 주의
- 지방은 희고 탄력이 있는 것이 좋음
- 육질은 결이 곱고 탄력이 있는 것이 신선한 고기로 연하고 맛도 좋음
<자료: 한국오리협회>
보관법
손질법
■ 보관법
- 신선 냉장오리는 –2℃에서 보관, 2일 동안 보관이 가능하며 진공포장된 오리고기는 15일까지 보관이 가능
- 냉동오리는 –18℃ 내외에서 얼린 고기로 반드시 냉동실에서 보관해야 하며 해동 후에는 다시 얼리지 않고 냉장실에서 보관 후 1일 이내에 소비하도록 함

■ 손질법
- 털을 제거한 후 배를 갈라 내장을 꺼내고 찬물로 깨끗이 씻어냄
기타정보

섭취정보

섭취정보 테이블
섭취방법 ■ 매콤달콤한 고추장 양념에 버무려 재워뒀다가 구워 먹는 오리구이(오리주물럭)이나 원기회복에 좋은 보양식 중 하나인 오리백숙·오리탕, 참나무 향에 그을려 그윽한 향이 매력적인 훈제오리 등이 일반적
■ 가슴살은 지방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하여 담백하므로 스테이크나 양념구이 등으로 활용하는 등 용도에 따라 통요리 또는 부위별로 기호에 따라 다양한 요리에 이용가능
■ 세계에서 오리를 가장 많이 기르고 생산하는 중국에서는 오리를 소금물에 절여 먹는 난징의 옌쉐이야(鹽}水鴨)는 약 천여 년의 역사가 깃든 요리
■ 프랑스의 푸아그라(Foie Gras), 미국의 터더컨(Turducken), 폴란드의 체르니나(Czernina), 말레이시아의 이틱 팀(Itik tim) 등오리를 이용한 세계의 전통요리가 발달
영양성분효능 ■ 오리고기는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와 비교하여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고, 단백질, 무기질 등이 풍부한 식품. 따라서 성장발육 촉진 및 기력회복에 좋은 식품
■ 오리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소나 돼지에 비해 높으며 닭에 비해서도 높아 날아다니는 등푸른생선이라 표현해도 될 정도
■ 닭고기에 비해 지방 함량이 높지만 우리 몸에 해로운 포화지방은 닭고기의 절반 수준이며 대부분이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체내 대사활동에 필수적인 라이신 등의 필수아미노산이 풍부. 따라서 혈액순환과 심혈관계 질환에 좋고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
■ 비타민 A와 B군이 타 육류에 비해 풍부하여 두뇌발달, 세포재생에 도움이 되고 체내 대사조절, 피로회복, 면역력을 강화시켜줌
■ 비타민 B1은 돼지고기에 비해 적지만 닭고기보다 2배, 쇠고기보다 4배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어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비타민 B2는 소, 돼지, 닭보다 많고 이는 세로토닌 분비를 촉진시켜 우울증을 완화시켜주고 폐경기 여성에게 효과적임
■ 칼륨, 인, 마그네슘, 칼슘, 철, 아연 등 무기질 함량이 높아 어린이 성장발육에도 도움이 되는 식품
■ 주요 육류가 산성인데 반해 오리고기는 알칼리성을 띠고 있어 체액이 산성화되는 것을 막고 피부노화를 방지하여 탄력 있는 몸매를 유지시켜줌. 콜라겐, 황산 콘드로이틴 등의 함량이 높아 피부미용과 뼈, 관절 건강에도 기여
관련연구정보 ■ 조리방법에 따른 가금류의 부위별 지용성 영양성분 함량 변화 조사: 콜레스테롤, 레티놀 및 알파-토코페롤
이지현, 이희나, 신정아, 천지연, 이준수, 이기택.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4권 제2호. 2015.
- 조리방법(원재료, 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 찌기, 로스팅, 전자레인지)에 따른 닭, 토종닭, 오리의 부위별(가슴, 날개 및 다리) 콜레스테롤, 레티놀 및 알파-토코페롤의 함량을 조사
(오리에 대한 결과만 소개: <표. 1> 참고)
소비량 ■ 오리고기 수급동향
- 2014년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의 여파로 오리고기의 공급 및 수요가 감소하여 1인당 소비량은 2.2kg까지 감소함
- 그러나 오리고기의 생산량 증가로 1인당 오리고기 소비량은 2016년 2.6kg, 2020년 2.9kg, 2025년 3.4kg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표. 2 참고)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16>

관련 이미지

오리고기 관련 레시피

오리고기장조림 오리고기장조림 160
오리고기장조림
오리주물럭 오리주물럭 161
오리주물럭
오리고기묵은지탕 오리고기묵은지탕 162
오리고기묵은지탕
오리고기전골 오리고기전골 221
오리고기전골
오리떡갈비 오리떡갈비 225
오리떡갈비
오리육개장 오리육개장 226
오리육개장
오리고기찜 오리고기찜 227
오리고기찜
오리고기김치말이 오리고기김치말이 242
오리고기김치말이
오리고기피망잡채 오리고기피망잡채 243
오리고기피망잡채
오리고기 건강떡볶이 오리고기 건강떡볶이 245
오리고기 건강떡볶이
목록


담당자 : 식생활영양과 강민숙 063-238-3584  갱신주기 : 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