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유래 |
■ 고추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식 채소로 전체 채소 중 가장 많은 재배면적과 생산량을 차지한다.
■ 고추의 원산지는 열대 아메리카(미국 남부부터 아르헨티나 사이에 분포)로, 고온성 작물에 속하며 우리나라에는 임진왜란(1592∼1598년) 이전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최근 고추는 다양한 기능과 함께 소비 및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과거에는 조미료로 쓰이는 건고추와 생식용으로 쓰이는 풋고추로 나누어져 주로 건고추의 이용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 고추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해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고추가 노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재배 기간 중 고온, 건조, 태풍, 폭우 등 기후 요인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 2015년도 지역별 시설풋고추 재배면적은 전체 4,878ha 중 경남이 전체의 30.5%인 1,488ha로 가장 많고 이어서 강원 897ha, 전남 697ha, 충남 563ha 순이었다.
■ 풋고추는 껍질째 생식하고 있는 대표적인 과채류로써 노지고추 재배 시 청과를 수확하여 이용하였는데 신선 채소류의 소비증가 경향 및 비닐하우스 보급과 함께 요즈음에는 철을 안 가리고 연중 보급하게 되었고, 풋고추용 전용품종도 나오게 되었다.
■ 일반 풋고추, 매운 청양, 조림용 꽈리, 맵지않고 물이 많은 오이맛 고추 등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일반 풋고추는 매운맛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청양은 고추 특유의 얼큰한 매운맛과 감칠맛을 지닌 품종이며, 꽈리 고추는 표면이 쭈글쭈글하고 육질이 부드럽고 연해 조림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오이형 고추는 매운맛이 약하고 맛과 향이 우수해 생식용으로 좋은 풋고추로 소비자들이 꾸준히 찾는 품종이다.
■ 녹광형 고추는 하우스나 시설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풋고추 품종으로 매운맛이 적고, 저온기 하우스재배에서 착과, 비대가 좋으며, 과형의 변화가 적고 광택이 우수하다. 길이는 12~14㎝ 정도이다.
■ 청양형 고추는 재래종과 같이 고유의 얼큰한 매운맛과 감칠맛을 지닌 품종으로 하우스나 시설에서 재배되는 풋고추 품종으로 저온기에 착과 및 비대가 좋아야 한다. 과실의 길이는 7~9㎝이고, 매운맛이 매우 세다.
■ 꽈리형 고추는 육질이 연하고 부드러워 풋고추 및 조림용으로 알맞으며, 과실 표면에 쭈글쭈글한 굴곡이 있다. 대부분 과실의 길이는 5~7㎝ 정도이고, 무게는 5g 내외가 적당하다.
■ 오이형 고추는 녹광형 고추와 과형은 비슷하나 과가 훨씬 큰 대과이다. 과색은 농녹색으로 매운맛이 약하고 맛과 향이 우수한 풋고추이다. 꾸준히 소비자들이 찾는 품종으로 남부 지방의 하우스재배, 강원지방의 노지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