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은 기본적으로 동의보감 (본초)에서 인용된 것임
검정 참깨Sesamum indicum L.
거승(巨勝), 방경(方莖), 흑지마(黑脂麻), 호마(胡麻)
한의학적 효능
- (뇌 건강) 뇌와 척수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
(뼈 건강)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만든다.
-
(혈행개선) 온몸에 영양이 골고루 미치도록 한다.
-
(신장 건강) 신장의 기(氣)를 북돋아 준다. (동의보감 [의감])
-
(항노화) 오래 살고 젊어 보이게 한다. (동의보감 [의감])
-
(면역증진) 환자가 기력이 모자라 말을 잇지 못할 때 사용한다. (동의보감 [서례])
주요성분 : Aurantiamide acetate, Sesamin, Sesamol
한의학적 성질
- 성질이 차갑거나 뜨겁지 않고 평이하며, 맛은 달고 독이 없다.
가공방법
- 복용할 때는 구증구포 (9번 찌고 말려 법제한 것) 한 후에 물에 끓이거나 찧어서 먹는다.
-
끓인 물에 일어서 뜨는 것을 버리고 술에 쪄서 반나절 볕에 말린 후, 거친 껍질을 찧어 버리고 약간 볶아서 쓴다.(동의보감 [입문])
궁합이 맞는 재료
- 복령(茯苓), 대두(大豆), 대추(大棗), 생강(生薑)
유래 · 특징
- 오랑캐[胡]인 중국에서 나고 모양이 대마[麻]와 비슷해서 호마(胡麻)라 부른다. 또, 8가지 곡식(八穀) 중에서 가장 뛰어나기에 거승(巨勝)이라고 한다. (동의보감 [본초]) (동의보감 [입문])
-
검은 것은 신장(腎)에 좋다. (동의보감 [의감])
섭취방법
- (뇌 건강) 뇌와 척수의 기능을 향상 시키려면 술로 반나절 동안 쪄서 볕에 말리고 가루 내어 분말이나 환으로 만들어 먹는다.
-
(혈행개선) 장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주려면 밥을 지어 먹거나 가루 내어 자주 먹는 것이 가장 좋다.
-
(신장 건강) 허리 통증에는 볶아서 가루 내어 술로 마시거나, 꿀물이나 생강 끓인 물로 3돈(9g)씩 타서 하루에 3번씩 먹으면 완전히 낫는다.
-
(항노화) 살찌고 튼튼하게 하려면 쪄서 볕에 말려 오래 먹으면 좋다.
-
(면역증진) 검은 참깨ㆍ대두ㆍ대추를 모두 구증구포하여 둥글게 만들어 먹으면 수명이 늘어나고 곡식을 끊을 수 있다. 또한 검은 참깨를 구증구포하고 고소한 냄새가 나도록 볶고 찧어서 가루 낸 후 꿀로 반죽해서 탄자대(옛날 탄알 크기만한 것으로 오동나무 씨 10알 정도 크기, 약 15~20g)로 환을 만들어 먹는다.
⁎발행처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식품자원개발부 발효가공식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