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close
전통향토음식 이미지

음식명, 식품유형,이미지, 조리법, 식재료,부재료,조리방법, 조리이미지로 구성된 음식정보
음식명 갱죽(갱시기,콩나물갱죽)
식품유형 주식류 > 죽류 > 죽류
이미지 갱죽(갱시기,콩나물갱죽)90969_MF_BIMG_01.jpg
조리법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끓이는 음식
식재료 쌀 360g(2컵), 콩나물 200g, 배추김치 200g, 실파 20g, 멸치 30g(15마리), 물 2.4L(12컵), 국간장 1큰술, 참기름 1큰술, 소금 약간
부재료
조리방법 1. 쌀은 깨끗이 씻어 30분 정도 불린 다음 물기를 뺀다.
2. 멸치에 물을 부어 끓여 멸치장국국물을 만든다.
3. 김치는 1cm 길이로 송송 썰고, 실파는 3cm 길이로 썬다.
4. 콩나물을 씻어 물기를 빼 놓는다.
5.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김치를 볶다가 불린 쌀을 넣고 다시 볶는다.
6. 5에 멸치장국국울 부어 끓어 오르면 콩나물을 넣고 주걱으로 저어 가며 끓인다.
7. 쌀알이 다 퍼지면 실파를 넣고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한다.
조리
이미지컷
갱죽(갱시기,콩나물갱죽) 재료90969_MF_IIMG_01.jpg 냄비에 김치를 볶는다.90969_MF_CIMG_01.jpg 불린 쌀을 넣고 다시 볶는다.90969_MF_CIMG_02.jpg 끓어오르면 콩나물을 넣는다.90969_MF_CIMG_03.jpg 쌀알이 퍼지면 실파를 넣는다.90969_MF_CIMG_04.jpg
조리시연자 박미숙,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
참고사항 갱죽은 갱시기, 밥시기, 콩나물김치죽, 밥국죽 등으도 불리며 나물과 밥을 넣고 끓인 국밥 또는 죽을 말한다. 찬밥을 이용해도 좋고 감자나 고구마를 이용하기도 한다. 찬밥을 이용해 밥을 너무 많이 넣으면 끓인 후 밥이 불어서 국물이 없어지므로 밥은 적게 넣고 국물이 있게 해야 한다.
출처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향토음식편), 1984
김천시농업기술센터, 김천향토음식, 1999
상주시농업기술센터, 상주 향토음식 맥잇기 고운 빛 깊은 맛, 2004
청도군농업기술센터, 청도향토음식의 보고 석빙고, 2004
구미시농업기술센터, 구미향토-로하스요리 질시루, 2005
청송군농업기술센터, 청송의 맛과 멋, 2006
윤숙경, 안동지역의 향토음식에 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9(1), 1994
정보제공자 김숙희, 경상북도 김천시 박남이, 경상북도 영주시 가흥 1동 유점희,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서변리 이선임.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김전1리 이영아,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광천2리
목록


담당자 : 식생활영양과 강민숙 063-238-3584  갱신주기 : 수시